font-weight 속성 font-weight 글꼴의 굵기를 설정하는 속성 1. font-weight의 정의 설명 값 normal | bold | bolder | lighter | 100 | 200 | 300 | 400 | 500 | 600 | 700 | 800 | 900 | inherit 초기값 normal 적용 모든 요소 상속 가능 백분율 사용 불가능 미디어 visible 2. 값 설명 값 범위 설명 100 - 900 수치가 높을수록 굵은 글꼴 normal 400과 같음 bold 700과 같음 bolder '900'과 같으나 글꼴에 의존하므로, 보통 '700'으로 표현된다 lighter '100'과 같으나 글꼴에 의존하므로, 보통 '400'으로 표현된다. inherit 부모 요소의 값을 상속하도록 지정 3. 예제 P { fo.. 더보기 [반응형 웹] - CSS3 @media 쿼리를 이용 스크린 크기 대응.(2) 반응형 웹(Responsive Web)개발하기 - 1. CSS3 @media 쿼리를 이용해 스크린 크기 대응하기 글을 포스팅하고 다음과 같은 트윗을 보았다. Dongsu Jang@iolothebard 요즘 유행(?)하는 반응형웹의 기반이 되는 미디어쿼리... 물리적인 화면 크기(인치)를 고려하지 않은 해상도(픽셀)만으로 뭘 구분하지? 1280x800의 해상도를 가진 스마트폰에 데스크탑웹 보여줘도 됨? 8 Oct 12 Reply Retweet Favorite 이전글 포스팅후 장동수(@iolothebard) 님(KTH의 앱스프레소 초기 개발자로 존경하는 개발자 중에 한분입니다.)께서 올리신 이 트윗을 보고 코드를 다시 확인해보니, 확실히 이 말을 이해할 수 있을것 같아서 다시 자료를 찾아보고 수정을 했습니다.. 더보기 [반응형 웹] - CSS3 @media 쿼리를 이용 스크린 크기 대응.(1) 웹 기술은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발전의 가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HTML5와 CSS3의 등장으로 단순하게 정보를 표현하던 정적인 웹을 사용자에게 효과적이고 고급스럽게 비정적인 데이터를 표현을 할 수 있게 해주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PC에서 브라우저로 속에서 표현되던 웹은 디바이스의 발전과 통신망의 발달로 모바일이나 타블릿 등 다양한 디바이스의 브라우저 속에서 표현하는 시대가 도래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사용자들은 더이상 PC에서 보던 브라우저속의 웹 환경을 원하지 않게 되었다. 모바일에 최적된 웹, 태블릿에 최적화 된 웹을 원하게 되었고 서비스 제공자들은 디바이스에 맞는 웹을 개발하기 시작한다. 그래서 서비스 제공자들은 디바이스에 맞는 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각각 디바이스에 표현할 수 .. 더보기 이전 1 ··· 3 4 5 6 7 8 다음